동작맘들의 소소한 소모임1_'77뱀띠맘'과 '12용띠아기' 모임이야기
소소한 모임으로 출발한 <동작맘 모여라>
이번 기사를 쓰면서 첫 번개 모임을 찾아보니 2008년 10월 14일 1 대 카페 매니져였던 신비세상 (지금은 미국 LA 신비로아 동작맘) 집에서의 콩나물밥 번개였다. 카페에 올린 글을 보니 9~10명 정도 모인 듯하다. <동작맘 모여라>의 처음 카테고리는 ‘수다방’, ‘지역 방’, ‘아기 출생 년도방’이었다. 이곳에서 정보 공유나 육아 고민도 함께 나누고 누군가가 용기 내어 번개 글을 올려서 모이곤 했다. 우리가 친한 사람의 경계를 말할 때 ‘집에 부담 없이 부르는 사이’ 를 많이 말한다. 우리는 이렇게 모여 친해졌다.
처음 봤는데 어색하지 않은 사람들
나는 2008년에 12월 1일에 큰딸 예지가 태어나 2009년 5월 8일에 닉네임 예지엄마77로 가입해 일명 ‘눈팅’만 열심히 하다가 첫 오프 라인 정기모임에 나갔다. 공지 글에 댓글로 몇 개월 된 아이와 어 느 동에 사는지 등 간단한 정보를 남기고 참석하기 때문에 닉네임 소개로도 ‘아! 그분이구나’ 하고 서로 알아본다. 처음 나가면 어색 할까봐 걱정 많이 했는데 막상 그 자리에 가면 우려는 금방 사라 진다. 닉네임 이름표 붙히고 자리에 앉아서 아이 몇 개월이냐는 말 로 옆 사람과 말문을 튼다. 다들 비슷한 또래의 아이를 키우는 동 작구 엄마들이기 때문에 금방 친해진다. 인원이 다 모이면 돌아가며 자기소개 시간을 갖고 먹으면서 모임 이 진행된다.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기어 다니고, 걸어 다니며 또래 들과 놀고 엄마들은 그 동안의 육아 이야기로 불꽃이 튄다. 어색 함이란 찾아 볼 수 없다. 엄마들의 눈은 아이에게 가 있어도 누구나 공감하는 이야기와 육아노하우 전달에 귀와 입은 쉴 사이 없이 듣고 말한다.
육아용품 아나바다로 마무리되는 시간
시간이 흘러 아이들 낮잠 시간이 되어 칭얼거리는 아이들이 생기 면 엄마들은 아이를 하나 둘 들쳐 업으면 삼삼오오 돌아갈 신호 를 보낸다. 그러면 행사 말미에 아나바다 나눔의 시간이 찾아온 다. 작아진 옷가지나 물건 등 잠깐 쓰고 깨끗한 다양한 유아용품 들을 하나씩 가져와 간단한 게임을 통해 필요한 사람들이 나눠 갖는다.
용기 있는 자만이 새로운 인연을 만나는 법
정기모임 외에도 각 그룹별 소모임이 많았다. 연령모임으로는 ‘77 뱀띠꿈틀이’, ‘78 말달리자’, ‘백호모임’, 40대 이상 맘들의 ‘골드맘 모임’ 등이었고 아이·엄마 나이대별 모임과 취미로는 독서·영화감 상·등산·영어·중국어·우쿠렐라·뜨게질 모임 등 취미모임도 있었다. 취미 모임의 강사님은 당연히 동작맘으로 재능기부처럼 진행되었 다. 그 중 내가 깊숙이 빠져있던 두 모임을 소개 해 본다.
77뱀띠맘 모임
사당동 사는 닉네임 미달이라는 친구가 먼저 제안하여 시작되었고 모임을 이어갔다. 2009년도가 첫 모임이었으니 어느새 10년이 되었다. 다들 유모차에 아기 띠에 대부분 아이를 동반하고 왔으며 엄마들은 77년생 동갑내기들에 애들 연령대도 돌 전후로 비슷했 다. 식당에서는 밥을 먹어도 애들 때문에 제대로 못 먹고 자리도많이 차지하고 애들이 호기심 만땅일 때라 여기저기 헤집고 돌아 다녀서 옆 손님 눈치에 주인장 눈치도 보게 때문에 집에서 모이는 경우가 많았다. 모임 후에 카페에 후기랑 사진을 올리면 그 날 온 친구들은 만남 의 기쁨을 회고하고 다음을 기약 했다. 아이의 컨디션이나 일이 있 어 모임에 함께 하지 못했던 친구들이나 용기가 없어 못나온 친구 들은 다음 모임엔 꼭 참석하고 싶다는 댓글을 달기도 한다. 돌아 서면 까먹는 내 머리 속에 지우개가 있기에 우리는 서로 닉네임과 본명을 써서 닉네임이나 누구엄마가 아닌 내 이름 석자로 친구들 의 이름을 핸드폰에 저장하고 서로 불러주곤 했다. ‘예지엄마77배정희’ 이렇게 말이다.
모임의 주제야 항상 다르지만 아이들 이야기로 시작해서 남편이야기, 빠질 수 없는 시월드 이야기 등등 한 달에 한 번 모임이다 보니 할 말도 많고 그간 자란 아이들의 모습에 함께 신 통해 하며 토닥토닥 ‘잘 키웠다’며 노고를 칭찬하기도 했다. 육아 용품 정보도 같이 공 유하면서 공동구매로 저렴하게 구매해서 가 정 경제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게 했다. 멀리 사는 친인척보다 가까이 사는 동네 친구가 더 좋 을 때가 많았다. 음식을 해서 나눠 먹고 서로 일 이 있을 때 아이를 잠시 맡기기도 하며 공동육아와 품앗이를 함께 했다. 그렇게 자란 아이 들이 어린이집·유치원에 다니면 자유부인이 되려나 싶었는데 하나 둘 둘째가 생기기도 하고 세상에 나오기도 해서 또 육아의 굴레가 시작 되었다. ‘부의 상징이다’, ‘아이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’고 하 지만 세월이 날 기다려주진 않는다. ‘누가 다 키워 줄 것도 아니면 서…’ 그저 그게 다 인생 아닌가 싶다.
12년생 용띠 아가들 모임

한시도 가만있지 못하는 아이들의 단체 사진을 찍는 건 웬만한 쇼를 방불케 했다. 시선을 고정 시키려고 엄마들이 아기들 앞에 한 줄로 서서 아기 이름 부르고 딸랑이 흔들고 정말 웃기는 그림 이었다. 그 정신없는 사이에도 교대로 음식도 먹고 수다도 떨었다. 그 중 딸 아이 엄마들은 외모에 대한 이 야기를 주로 하게 된다. 머리숱이 없거나 아직 중성적인 얼굴 때문 에 “아들이냐?”고 묻는 것을 무 척 스트레스 받는다고 했다. 머리 부터 발끝까지 핑크로 치장해도 같은 질문을 받으면 속상하다고 한다. 그랬던 딸들이 지금은 7살 긴 머리 공주가 되어 있는 모습 은 지금 생각해도 너무 재밌는 옛 이야깃거리였다. 그러나 첫째 아이 스케줄에 맞 추다 보니 언니·오빠 친구들 모 임에 따라 다녀야 해서 배꼽 친 구 모임 유지하기가 어렵다. 어쩔 수 없이 둘째들 모임은 흐지부지 사라졌다. <동작MOM>매거진 기사를 쓰면서 <동작맘 모여라> 카페 내 카 테고리에 남아 있는 2012년 용띠 아가들 모임을 되돌아 보면서 아름다운 추억을 소개하니 기쁨이 두 배다. 이제라도 ‘77 뱀띠 꿈틀이들’을 불러 모아 얼굴보고 옛날처럼 수다 떨고 싶다. 이젠 밤에 치맥이라도 할 수 있으려나 모르겠다.
보고 싶다 친구들아~~ 내가 오랜만에 번개치면 나와 줄꺼지? 이글을 보는 동작맘들도 좋은 인연 만들기에 동참해 보면 좋겠다. 그 용기에 “좋아요” 하며 함께 할 인연들이 생길 테니까. 아이 친구·엄마 친구 만들고 싶어서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.
댓글 없음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