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부는 9단, 기자는 초보인 동작맘들이 만들어가는 매거진

[우리 아이 교육] 피아노 레슨 Q&A

피아노 레슨 Q&A


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제일 많이 배우는 악기인 피아노. 다채로운 음색과 더불어 소근육발달, 두뇌발달, 감수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 피아노를 한 번 익히고 나면 다른 악기를 배우 기 쉽기 때문에 더 어렸을 때부터 시작하는 경우도 많다. 피아노 교육은 30년 전이나 지금이 나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은 걸까? 어린 시절 바이엘만 겨우 뗀 소녀주부. 30년 경력의 피아노 선생님에게 거리낌 없이 물어봤다.

 

| 김은제(소녀주부)

자문 | 이지연

 

Photo by wal_172619, Pixabay
https://pixabay.com/images/id-5353974/




Q 피아노는 몇 살부터 배우는 것이 좋은가요?

A 보통 소근육이 발달하는 시기인 만 6세부터 시키는 경우가 많아요. 예전에 조기교육이 유행할 때는 더 어릴 때 시작하기도 했는데 소근육이 발달하지 않고 한글도 모르고 시작하면 배우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어요. 이론 수업이 있기 때문에 한글을 읽을 수 있을 때 시작하면 조금 더 편하게 배울 수 있어요. (혹시 선생님은 언제부터 피아노를 배우셨어요?) 저는 7살에 시작했어요. 엄마가 선생님이셔서 집에 아이들만 둘 수가 없어 학원을 일찍 다니게 되었죠. 나중에는 개인레슨을 받게 되었는데, 학원에서 배웠던 습관이 남아있어 레슨을 받았을 때 많이 혼났어요. 그 경험으로 제가 학생들을 가르칠 때 첫 단계에 제대로 배워야 한다는 생각으로 가르치고 있어요.

 
Q 선생님은 자녀에게 피아노 가르치고 있으신가요?

A 제가 피아노 선생일 언제라도 가르칠 수 있으니 아이가 원할 때까지 기다려주고 있어요. 제가 피아노 전공이니까 아이도 꼭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아요. 그렇지만 음악 공부를 하든 어떤 악기든 배워야 한다고 생각해요. 그림도 아는 만큼 보이는 데, 음악도 아는 만큼 들린다고 해야 할까요. 사람의 청력이 만 10세에 완성한다고 하는데 음악을 배웠다면 그때 연주를 하면서 내가 내는 소리, 악기에 집중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가 있어요.

 

Q 어느 정도 배워야 곡을 연주할 수 있나요?

A 그래도 체르니 40번의 수준까지 마쳐야 악보를 보고 연주할 수 있어요. 요새는 아이들이 공부해야 할 게 많다 보니 예체능을 저학년 때 집중적으로 배우거든요. 그래서 체르니 교재의 수준이 좀 쉬워졌어요. 아무래도 진도를 빨리 끝낼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니까요. 하지만 결국 악기를 배우는 것을 그만두면 실력이 남아 있지 않고 퇴보하기 때문에 체르니 40번 교재가 끝났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 배운 것을 잊어버려요.


 

Image by StockSnap, Pixabay


Q 저는 바이엘만 배워서 체르니가 어떤 교재인지 본 적도 없어 요. 체르니 100부터 시작해서 숫자가 들쑥날쑥하던데 숫자에 어떤 의미가 있나요?

A 피아노 기초 교재에는 바이엘, 알프레드, 아마데우스, 유리드믹스 등이 있어요. 중급과정에는 하농, 체르니가 있고요. 체르니는 100, 30, 40, 50의 순서로 배우는데요. 체르니라는 작곡가가 난이도 별로 곡 수에 따라서 교재를 구분해서 만들었어요. 체르니 100이면 100개의 곡이 있다고 보시면 돼요. 체르니는 베토벤의 제자로 수줍음이 많았고 무대 체질이 아니라서 무대에서 연주하기보다 피아노 교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제 자양성에 집중했다고 해요. 베토벤이 본인 조카를 부탁할 정도라고 하니 훌륭한 선생님이었겠죠?

 

Q 피아노 교육, 아이가 언제 준비되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?

A 제일 바람직한 때는 아이가 하고 싶다고 할 때 시작하는 거 에요. 대부분 아이 원하기 전에 부모에 이끌려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요. 이 경우 아무래도 아이가 흥미가 있던 상태가 아니라 서 배우는 속도가 더디죠. 공부 때문에 그만두었다가 나중에 게 임 주제가로 다시 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학년은 공부할 때니까 배울 시간이 없더라고요. 악기를 배우는 것은 시작 시기와 함께 궁극적인 목표 설정도 중요한데요, 전공할 게 아니라면 조금 더디게 진도가 나가고 오랫동안 배우는 걸 추천합니다. 자녀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음악으로 해소하고 마음을 음악을 통해 위안을 받을 수 있는 피아노 레슨이 되도록 양육자가 기다려 주었으면 좋겠어요.

 

Q 피아노 학원에 상담갔을 때 어떤 걸 확인해봐야 할까요?

A 다른 과목과 마찬가지로 학원의 규모와 상관없이 선생님의 역량이 중요해요. 피아노는 기술뿐만이 아니라 곡을 읽고 감정을 실어야 하거든요. 앞서 말씀드렸듯이 처음에 옳지 않은 방법으로 배우면 고치기 어렵기도 하고요. 그리고 이론 수업을 탄탄하 게 하는 곳이 좋아요. 이론을 피아노 연주에 적용할 때 악상기호, 용어, 계이름 등 아는 만큼 보이거든요. 잘하는 연주는 작곡자가 요구하는 대로 연주하는 게 기본인데 이걸 놓치는 경우가 많아요.

 

피아노교육에대해궁금하신분은연락주세요.

이지연 | 피아노개인레슨전문 (30경력)

이메일 | leejyun@gmail.com





댓글 없음:

Powered by Blogger.